Menu Close

호, 조선 선비의 자존심 – 조선시대 선비들의 ‘호(號)’를 보면 왜 그 사람을 알 수 있을까?

호, 조선 선비의 자존심 / 한정주

조선의 선비들은 최소한 셋 이상의 호칭을 지니고 있었다고 합니다.

‘명(名)’은 이름을 말하고
‘자(字)’는 관례(성인식)를 치르고 짓 는 이름입니다.

이는 유학의 경전 가운데 하나인 ‘예기’에서 이름을 귀하게 여겨서 공경하기 때문이라는 것에서 유래합니다.

그만큼 이름은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함부로 부르지 않도록
이름과 연관된 ‘자’를 짓고 이름 대신 자로 부르게 한 것입니다.

따라서 명과 자는 스스로 짓는 것이 아니라
부모님이나 어른, 스승이 지어주는 것입니다.

 

이 두가지 외에 또 하나의 호칭이
바로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호(號)’입니다.

보통 호는 그 사람의 지역에서 유래한다고 알 려져 있습니다.
율곡 이이나 연암 박지원이 그 예입이다.

그러나 호는

자신이 지어도 되고
다른 사람이 불러줘도 되는 것이기 때문에

특별한 규칙은 없습니다.

따라서 호는 자신이 거처하는 곳의 이름을 취해 짓거나,
자신이 간직하고 있거나 좋아하는 사물을 빌어 짓거나,
자신이 살아오면서 깨달아 얻은 것이나 자신이 지향하는 뜻과 의지를 드러내어 짓거나,
자신이 처한 상황이나 처지에 빗대어 짓는 등의 다양한 유형을 취합니다.

같은 이유에서 한 사람이 수십개의 호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호를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는 것은
그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황은 죽은 이후에도 사람들이

자신을 물러날 퇴,

한 글자로 기억해 주기를 바랬다고 합니다.

그래서자신의 묘비에 ‘퇴도만은(退陶 晩隱)’ 이라는 말을 적게 했습니다.

자신이 평생 마음에 품고 살았던 뜻을 ‘물러날 퇴(退)’로 삼았으며
따라서 ‘퇴계’ 이황이라는 말은 그 분의 뜻을 존중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본디 벼슬에는 관심이 없지만 자신이 처한 상황과 능력 때문에
벼슬자리에서 물러났다 다시 불려가기를 거듭 반복하게 되면서
마지막까지도 그는 ‘퇴’ 자 하나만으로 자신을 기억해 주기를 바란 것입니다.

 

정약용은 다산 정약용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책의 첫 장에서는 ‘여유당 정약용’으로 제목을 삼아
남인으로 산다는 것의 의미를 강조하였습니다.

여유당이란 호가
남인으로 산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가를 적나라하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당쟁이 격렬하던 조선 후기에는 자신이 어느 집안에서 태어났느냐가 중요한 문제가 되었는데
그렇기 때문에 서인 계열의 노론 세력이 권력을 독점 지배하고 있는 상황에서
능력있는 자가 남인으로 태어났을 때 어떤 삶을 살아갈 수 밖에 없는지도 엿볼 수 있을 것입니다.

 

‘다산’이라는 호는 유배 생활 도중에 탄생한 호입니다.

가혹한 유배지이지만 자신에게 끊임없이 차를 제공해주는 만덕산을 애호하게 되었고
이에 그 산의 별칭인 ‘다산’을 기꺼이 자호로 삼은 셈입니다.

다산과 관련해서는 특별한 차문화가 자리잡기 전인 당시에
정약용의 차와 관련된 이야기도 담겨 있으니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밖에도 정약용은
삼비자, 열수, 철마산초, 탁옹, 자하도인, 태수, 문암일인, 사암 등의 자호를 짓기도 했습니다.

 

이 중에서도 정약용 본인은 ‘사암(俟菴)’이라는 호로 후세 사람들이 기억해 주기를 바란 것 같습니다.

‘기다릴 사, 암자 혹은 초 막암,’

저자는 아래와 같이 분석하고 있습니다.

‘정조대왕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더불어 꺾여버리고 또 유배형에 처해진 후
현실의 정치 무대에서 철저하게 짓밟혀 버린 정약용 자신의 큰 꿈,

곧 경세치용과 사회개혁의 의지와 구상을
학문적으로나마 실천하고 완성하겠다는 생각때문이었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 자신이 이루지 못한 큰 꿈을 이루어줄 미래의 새로운 세대를 기다리겠다는 마음을 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조선의 역사를 호를 통한 선비들의 삶을 통해 엿볼 수 있는 재미있는 구조의 책이기도 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