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Close

노가다 필수 준비물 / 복장 안전화 각반 장갑 복장 이수증 등

복장 등 건설 일용직 노가다 필수 준비물

안전화, 각반, 장갑, 일할 때 입는 복장, 여름과 겨울에 필요한 노가다 필수 준비물 정리

(1) 신분증 +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이수증

가까운 인력사무소 / 인력소에 갈 때 반드시 준비해야 할 두 가지는,

신분증 +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이수증이다.

이수증을 어디서 발급받고 비용은 얼마인지는 아래의 글 참고.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이수증 발급 / 교육시간 준비물 비용 5만원 무료교육 조건 재발급 등

(2) 안전화

2~3만원짜리 안전화를 사면 반드시 후회할 일이 생긴다.

대못에 발 뒷꿈치가 뚫릴수도 있고 앞 꿈치가 말 그대로 아작날 수도 있다.

아래의 안전화는 6만원 안팎이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지벤의 안전화로 기본은 해 주는 안전화다.

위 안전화의 단점은 똑딱이 단추였는데

한쪽 발은 괜찮았지만 다른 발은 이 똑딱이 안쪽이 발의 복숭아뼈를 계속 자극해서 쓰라리고 껍질이 벗겨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나중에 가서 손을 보기는 했는데 똑딱이 형식의 안전화 중에는 이런 문제가 생길수도 있으니 참고하자.

‘신분증 + 이수증 + 안전화’ 는 건설 일용직 노가다를 나갈 때 필수 준비물이다.

다른 것은 현장에서 어떻게 해결할 수 있다고 해도 이 세가지는 본인게 없으면 안된다.

안전화를 주는 곳도 있다던데 많지 않다. 현장마다 다르지만 안전화는 다들 자기것은 자기가 챙긴다. 건설 현장이나 인력소에 가면 준다는 그런 말은 믿지 말자. 한정된 곳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3) 각반

노가다가 처음이면 각반이 뭔지 모르는게 당연하다.

바지 밑단이 펄럭이다가 공사현장의 자재 같은 것에 걸려 크게 다칠 수 있으므로

바지 밑단을 밴드처럼 발목에 딱 감싸주는 것으로, 검색하면 바로 나오니까 보면 알 것이다.

2~3천원짜리 구입하면 충분하다.

… 각반도 노가다 필수 준비물까지는 아니어도 없으면 현장에서 바로 조달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여기 적은 것은 어지간하면 다 챙겨가자.

 

(4) 장갑

빨간 코팅된 장갑을 가장 많이 쓴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더 좋다.

[다른 글 읽기]  빌라 매매 투자 가치가 있을까? 부동산 투자로서의 장점과 단점

코팅이 되지 않은 장갑을 끼고, 그 위에 빨간 코팅이 된 장갑을 끼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노가다 작업을 할 때 손도 덜 힘들뿐더러
폼 나르고 아시바 나르고 하다보면 가끔은 아주 힘든 일의 노가다를 하게 되면
코팅된 장갑도 벗겨지곤 하는데 위와 같이 하면 손이 안전해진다.

일단은 이렇게만 준비하고 인력소를 통해 여러 현장을 다니면서 다른 사람들은 어떤 작업용 장갑을 끼는지 보고 하나하나 그에 맞춰가면 된다.

 

(5) 노가다 복장

바지에도 옷에도 주머니가 있는게 좋다.

없어도 되는 현장이 있지만 지갑이나 핸드폰은 반드시 가지고 다녀야 하고(누가 훔쳐가니까),
익숙해지면 줄자나 커터칼 정도는 가지고 다니게 될 수도 있는데 이건 사람따라 다르니까 처음이라면 가지고 갈 필요가 전혀 없다.

처음이라면 옷을 몰라 청바지가 못 쓰는 바지를 입고 나갈텐데
그것도 괜찮지만 청바지는 꽤 덥다.

처음 3~5일은 힘들더라도 못 쓰는 바지와 옷을 입고 다니면서 더럽히다가
사람들이 입고 다니는 것을 보고 내게 맞는 것을 고르면 된다.

 

(6) 필수는 아니라고 해도 어쨌든 노가다의 필수 준비물 … 갈아입을 옷과 운동화, 그만큼 큰 가방 + 수건, 비닐

처음에는 안전화까지 다 신고 복장까지 다 갖춘 상태로 인력소로 가지만
두세번만 갔다와도 안전화는 물론 모든게 더러워진다.

또 노가다가 끝난 후 인력소로 돈을 받기 위해 돌아오는 버스나 지하철 안에서는
더러워진 옷에 복장으로는 남들에게 피해주기 쉽다.

그래서 갈아입을 옷과 운동화는 반드시 가방에 넣고 가지고 다녀야 한다.

일하러 갈 때는 작업복장으로 간다고 해도,
일이 끝나고 돌아올 때는 일상복으로 환복하고 가방에 작업복과 안전화를 넣고
그렇게 오는게 좋다.

또 개인차를 타고 현장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그 사람에게 3천원 정도의 교통비를 내 일당에서 떼어 주어야 하지만
그래도 얻어타고 가는 만큼 온갖 흙과 먼지 등으로 더렵혀져 있는 안전화를
그대로 신고 타는 것은 아무래도 실례이지 않을까?

[다른 글 읽기]  노가다 일당 얼마 / 인력사무소 인력소 노가다 앱 어플 등

갈 때도, 올 때도 일상복과 운동화를 입은채로 탄 후에
현장에서 작업복과 안전화로 갈아입는게 좋다고 생각한다.

 

여름에는 땀으로 범벅이 되어 옷만 갈아입는다고 뒤집어쓴 먼지가 해결되는게 아니다.

여름에는 현장에 수도꼭지가 없는 곳이 없을텐데 이곳에서 머리를 물로 대충 감고 얼굴도 좀 씻고,
수건으로 대충 닦아낸 후에 젖은 수건과 더러워진 작업복, 안전화는 각각의 비닐에 넣고 가방에 넣으면 될 것이다.

 

겨울에는 안전모를 쓰고 난 후의 떡진 머리를 어떻게 할 방법이 거의없다.

수도가 안 나오는 곳도 많지만 너무 추워 씻기도 겁난다.

다행이 겨울이고 추운만큼, 머리에 비니(두건 같은 것, 검색하면 나옴)를 뒤집어 쓰면 깔끔해진다.

 

 

(7) 대일밴드, 물수건

은근슬쩍 쓰일 때가 많다.

 

(8) 여름과 겨울의 달라지는 노가다 준비물

여름에는 썬크림이 필수다.

얇은 긴팔옷을 입고 일한다고는 하지만 때에 따라 팔토시도 필요하고

바라크라바처럼 머리까지 뒤집어쓰는 복면은 아니더라도 목부터 눈까지 끌어올려 쓸 수 있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는 써 주는게 좋다.

겨울에는 목토시부터 머리에 비니까지, 추위를 막아줄 복장을 챙겨주어야 한다.

 

(9) 볼펜 – 몸 안 찌르게 주의!!! 반드시 주의!!!!!

처음 가는 현장은 그 현장에서의 기초안전교육을 한두시간 받게 된다.

이수증의 교육과는 다른 것이다.

가끔은 몸이 너무 힘들 때 아침에 한 시간이라도 덜 하기 위해 처음 가는 현장이 반가울 때가 있는데 이런 경우다.

 

일단 받고 나면 그 현장에서는 더 받을 일이 없지만 처음에는 받게 되는데

물론 펜을 주지만 가지고 다니면, 이것 외에도 쓸 일이 많아 더 좋다.

몸에 넣어가지고 다닐 때에는 몸을 찌르지 않도록 주의하고,
집에 돌아온 후에는 빨래할 때 같이 넣고 돌려 잉크가 옷에 다 번지게 되는 일이 없도록 조심하자.

 

(10) 배낭 + 마스크

가지고 다닐 준비물이 다 들어갈 정도의 것이면 된다.

갈아입을 옷과 안전화 정도는 들어가야 한다.

[다른 글 읽기]  오피스텔 장점 단점 매매 투자의 위험성 주의사항

현장에 가면 마스크를 쓰지 않는 사람들이 무척 많고, 밥을 먹는 환경도 코로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질 수 밖에 없지만 그래도 마스크는 써 주는게 건강에도 좋다.

노가다를 처음 하는 사람이면 오후가 되어 집에 돌아왔을 때 목이 쉬어 있는 경험을 많이 하게 되는데 소리지를 일이 거의 없어도 공기가 안 좋아 그런 일이 많이 발생한다.

 

… 나머지는 자신이 하게 되는 일에 맞추어 하나하나 준비해 나가면 되고
처음이라면 위에 적은 것 이상을 준비해 갈 필요가 전혀 없다. 돈 낭비다.

노가다 인력사무소 / 인력소 일당 얼마 노가다 앱 어플 등

일용직 노가다 잡부의 하루 / 왜 사회와 문화와 멀어지는가?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