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을 먹고 3~6개월 사이에 급격히 빠지던 머리카락이 진정상태로 들어갔으며 어느정도는 더 자라났다고 느끼고 있다. 하지만 그 후부터 머리가 점점 풍성해지지는 않았다. 왠지 모르게 마구 빠지는 머리카락을 천천히 빠지게, 그러니까 조금 더 오래 가게 버텨주고 있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알다시피 탈모약은 처방비도 보험이 적용되지 않아서 한 달치만 처방 받아도 처방비만 2만원이 넘는다. 보통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면 몇 천원이면 되는데 이건 완전히 다른 차원의 계산이다.
게다가 탈모약도 보험처리가 안 된다. 그래서 굉장히 비싸다.
처음 먹던 탈모약은 처방비까지 합쳐 한 달에 7~8만원씩 들어갔다. 1년이면 80만원 안팎이다. 꽤 큰 돈이다.
그래서 1~2년 후에 다른 탈모약으로 바꾸었다. 매달 2만원씩은 줄어들었지만 매일 먹는 약이라고 생각하면 여전히 비싸다.
그 후에는처방비와 탈모약값 모두 저렴한 곳을 찾아 이동하면서 소문을 수집하고 그렇게 해서 몇 만원을 더 아끼기는 했다.
처음에 탈모약을 바꾸면서 가장 걱정이 되었던 것은 약효가 별로인건 아닐까 하는 점이었다.
물론 이성적으로는, 그리고 의학적으로도 피나스테리드 1mg이라는 공통된 탈모약 성분이 똑같은 양으로 들어있기 때문에 아무 차이가 없어야 되는게 정상이다.
하지만 검색해보면 이상하게 ‘똑같은 성분과 양임에도!!!’ 어떤 탈모약이 자신에게는 더 잘 듣는 것 같다는 글이나 후기를 보게 된다.
이유는 간단해 보인다.
처음 탈모약을 먹었을 때는 바로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의사선생님이 3개월은 기다려보라고 했다.
실제로 3~6개월 사이에 뭔가 효과가 보였다. 마구 빠지던 머리카락이 어느정도 채워지는 것 같아 보였고 듬성듬성 빠지던게 고르게 빠지거나 채워진 모양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몇 년 후에 더 저렴한 약으로 바꾸고 몇 개월이 지난 후에 머리상태를 보면 왠지 효과가 적은 것 처럼 보였다.
그래서 왠지 처음 먹던 약이 더 좋은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시간을 거슬러 올라 천천히 생각해보니 처음 약이 더 잘 들었다고 생각하게 된 이유는 급격히 빠지던 머리에 처음으로 탈모약을 먹으면서 머리상태가 좋아졌기 때문에 그렇게 착각했던게 아닌가 싶다. 만약 그때 저렴한 약을 먹었다고 해도 효과는 같았을 것이다.
게다가 그로부터 몇 년이 지나서 이제는 탈모약으로 잡아주는 머리카락이 점점 줄어들게 된 이 때, 약을 바꾸니까 왠지 약 때문에 더 빠진게 아닌가 착각했던 것 같다. 만약 처음에 싼 약을 먹고 몇 년이 지난 후에 비싼 약을 먹었더라도 같은 상태일텐데 말이다.
그래서 지금은 마음 편하게 그냥 저렴한 곳에서 저렴한 약을 찾아 먹고 있다. 언젠가는 머리가 없게 되겠지만 그래도 그 시간을 최대한 늦춰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