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라이트세일(lightsail)의 DNS 설정, 그리고 도메인 네임서버 변경 후 연결하는 방법 정리
라이트세일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2/3번째 글
DNS 설정이라는게 도메인에서 하는 것인지 (웹)호스팅에서 하는 것인지
정확히 모르겠지만 지금까지는
모두 (웹)호스팅에서 만들고 설정했고 라이트세일도 마찬가지였다.
도메인 회사에서는 네임서버만 변경해 주면 됐다.
그러나 가끔 도메인에서도 DNS를 설정해 주는 곳도 있는 것 같으니 그럴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알아만 두자.
어디가 되었든 만드는 방법은 비슷하므로 설정 후 연결하면 그만이다.
(1) 라이트세일에서 DNS 만들어 연결하는 방법
왼쪽의 Domains & DNS 메뉴에 들어간 후
오른쪽의 Freate a DNS Zone을 클릭!
대부분 도메인은 아마존이 아니라 다른 도메인 업체에서 구입했을 것이므로
Use a domain from another registrar 을 선택하고
그 아래 Domain name에는 자신의 도메인 주소를 www 없이 입력한다.
예를 들어 www.abc.com 이라고 하면 abc.com 이라고만 입력하면 된다.
맨 아래를 보면 There are no charges for DNS zones. 라며
DNS 존을 만드는 것에는 따로 요금이 청구되지 않는다고 한다.
Create DNS zone 을 눌러 DNS를 만들자.
밖으로 나와 DNS 화면으로 다시 돌아와보면 위와 같은 화면이 있고
위쪽의 Domains를 선택하면 아래 Name servers (네임서버) 네 개가 보인다.
이곳이 아니라 자신의 도메인 업체로 가서
도메인 관리화면으로 들어가면 네임서버를 변경할 수 있다.
도메인의 네임서버에 순서대로 한개씩,
위의 네 주소를 하나하나 입력해 주면 도메인의 네임서버 변경은 끝난다.
DNS records 로 들어간 후에
아래의 + Add record 를 누른다.
들어간 후에 두 개를 만들 것이다.
A record와 CNAME record를 말이다.
첫번째 빈 박스의 Record type에서는 A record 를 선택하고
그 아래 Record name에는 우리가 골뱅이라고 부르는 @를 입력하고
그 오른쪽의 Resolves to 에는 앞에서 만든
숫자로 된 고정 아이피(static ip) 주소를 입력한다.
다시 Add record를 선택한 후
CNAME record 를 선택하고
www 입력
옆에는 abc.com 과 같이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www 없이 입력한다.
끝!
라이트세일 DNS 설정도 끝났고
도메인 네임서버 변경도 끝났다.
위와 같이 해 두면 도메인과 라이트세일의 연결까지 끝난 것이다.
다음은 이 글의 마지막인 3번째 글로써
let’s encrypt 라고 하는 무료 ssl 보안 인증 주소 설치와
자동으로 갱신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그것으로 라이트세일에 워드프레스 블로그 설치는 다 끝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