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Close

경기도 이천 창천동 중국집 – 연위 짬뽕밥

경기 이천 창천동 중국집 연위에서 먹은 짬뽕밥

연위에서 처음 먹었던 건 짬뽕이었는데
양이 너무 많이 나와 깜짝 놀랬었다.
거의 2인분이었다.

그 후에도 여러번 가서
탕수육과 깐풍기, 간짜장, 볶음밥 등을 먹었다.
(이전 글 참고)

그 중 가장 맛있던 건 깐풍기였다.

이번에는 짬뽕밥을 먹었다.

중국집 연위의 볶음밥은
오래 볶아서라기보다는 밥을 덜 익게 만든 느낌이었다.
쌀이 덜 익은 느낌의 볶음밥이었다.

이 날 짬뽕밥을 먹으면서 같이 나온 밥을 보니 그 이유를 알 수 있었다.
다른 중국집도 고슬거리는 볶음밥용 밥은 이렇게 하나?
궁금하다.

짬뽕밥 역시 맛있었다.

 

 

연위에서 유일하게 실망했던 건 간짜장이었는데
짜장소스에 비해 면이 너무 많이 나와서 덜 비벼져 맛이 없었다는 것.

한마디로 말해 면을 곱배기처럼 많이 준게 오히려 마이너스가 됐다는 것.

면을 많이 주니까 오히려 좋아해야 하는게 정상이 맞을 것이다.
그런데 간짜장이니만큼 짜장의 양이 면에 비해 적은 편인데
여기에 면이 더 많아지니까 짜장소스가 더 적어진 꼴이 되어서
제대로 비빌 수가 없어 오히려 맛이 덜해졌다는…

그런 아이러니컬함에서 벌어진 일이었다.

 

 

중국집에서 짬뽕 대신 짜장을 시켜 먹는 이유라면
짬뽕은 면이 맛이 없어서였다.
짜장처럼 소스가 묻는게 아니어서 뭔가 맹한게 싫었다.

그때도 짬뽕밥이라는게 있는 걸 알았다면
짬봉 대신 짜장이 아니라 짬뽕밥을 시켜먹을 때가 많았을 것이다.

그때는 중국집에 가면 늘 먹던게
짜장 아니면 짬뽕이었고
사람이 많으면 여기에 탕수육 하나가 추가되는게 전부였기 때문이다.

아무튼 연위는 짬뽕밥도 맛있었다.

 

 

p.s. 이천에 오는 친구에게 연위라는 중국집을 추천해 줬는데
하필이면 이 친구가 갔던 그 날은, 짜장과 탕수육이 모두 맛이 없던 모양이다.

그럴리가 없는데… 라고 생각하며 계속 들어보니까
그 날은 확실히 요리를 뭔가 서두르며 했던 것 같았다.

그래서 이렇게 말했다.

‘다음에는 사람 많은 시간을 피해서 가봐.
그래도 맛없으면 내게 알려줘.’

그 일이 있고나서는 연위도 역시 일반 중국집과 다를 바 없는것일까?
사람이 많을 때는 뭔가 좀 엉성하게 해서 내보내는건가??
고 추정중이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