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Close

간단한 가정용 빨리 굳는 시멘트 / 미장칼

동네 마트에서 구입한 빨리굳는 시멘트 1kg짜리로
색상만 맞다면 간단한 가정용 보수 용도로는 꽤 괜찮은 것 같다.
하지만 색상 맞추기가 은근 어렵다.

미장칼 (또는 흙손)은 그냥 집에 있는 플라스틱 주걱으로 하려다가
가격도 얼마 안하고 해서 구입했는데
없으면 어쨌나 싶을 정도로 잘 썼다.

빨리 굳는 시멘트의 가격은 5,100원
미장칼의 가격은 3,100원이었다.
인터넷은 아마 더 저렴할 것이다.

미장칼은 시멘트 보수 작업 후 바로 잘 씻으면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빨리 굳는 시멘트의 색상은 회백색과 백색의 두 가지가 있었는데 조금 어두운게 나을 것 같아 회백색으로 구입했다.


오래된 집이라 시멘트 바닥이 전체적으로 금이 가기 시작하더니
어느 날부터인가 안이 텅 빈 것처럼 퉁퉁 소리가 나다가
구멍이 생기기 시작했다.

10~20킬로짜리 커다란 시멘트 한 포대를 구입하는 게 가장 좋겠지만
그러기에는 쓰고 남는 게 너무 많을 것 같았고
보관도 어려울 것 같아 그냥 마트에서
1킬로그램짜리 시멘트를 구입했다.

빨리 굳는 시멘트는 처음 사용해 본다.

 

겨우 손바닥 반 만한 크기임에도 안의 공간이 꽤 컸다.
1킬로그람짜리 시멘트임에도 안을 채울 것을 생각 못하고 구입했기에 양이 적었다.
적어도 3킬로그램은 있었어야 안도 꽉 채운 후에 덮을 수 있었을 것 같다.

이유는 지반침하…

오래된 집의 지반이 침하되면서 생기는 증상 때문이라
겉과 달리 속의 빈 공간이 꽤 컸다.

게다가 저 부분만 아니라 곳곳에 하나둘 금이 가기 시작한 것을 보면
뭔가 전체적인 공사가 필요한데(보수가 아니라)
걱정이었다.

 


비율은 시멘트와 물을 5:2로 섞으라고 되어 있고
그렇게 하면 15분 뒤에 굳는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처음 해 보는 것이어서 시간이 더 걸렸고
덕분에 너무 빨리 굳어서
작업도 미처 끝나기 전에 남은 시멘트에 물을 더 붓고 계속 사용해야 했다.

따라서 처음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5:3의 비율이 나을 것 같다.

5:2로 하면 15분이 아니라 10분 뒤면 벌써 딱딱해져서 미장칼로 퍼지기는 해도 고르게 펴바르기는 어렵다.

[다른 글 읽기]  얇은 멀티펜 IWI 3in1

 


색상이나 질감이 기존의 모래가 섞인 시멘트 바닥과 달라서 지저분해 보였지만 깨진 것보다는 낫다고 위안해 본다.

아무리 작은 보수작업이라고 해도 미장 칼은 없으면 안 되는 것 같다. 매끄러운 마무리까지 완벽했다.

 

p.s. 시간이 지난 후…

오래된 집이고 일단 바닥이 한 번 꺼지기 시작한 집이라면 아무리 보수작업을 해도 해결이 안 되는 것 같다. 집 바닥 자체가 침하되기 시작한 것 같다.

빨리 굳는 시멘트는 그래도 자기 역할을 마지막까지 다 하긴 했는데 두께를 얇게 바른 곳은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떨어져 나갔다. 하지만 두껍게 바른 곳이나 두껍게 메운 곳은 몇 년이 지나도 크게 이상은 없었다.

그래도 일반 시멘트에 물을 섞어 사용하는 것에 비하면 몇 년의 시간 속에서도 상태를 유지하는 내구성은 약간 떨어지는 것 같다(내가 잘못 사용한 것일수도 있음).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